밈과팩트사이

트럼프는 왜 한국과 ‘포괄적 협상’을 원했을까? 본문

경제와 밈팩

트럼프는 왜 한국과 ‘포괄적 협상’을 원했을까?

밈팩사master 2025. 4. 9. 13:05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통화에서 “포괄적인 협상”을 언급하며 한국과의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단순한 외교적 립서비스일까? 아니면 본격적인 압박의 시작일까?

 

이 통화는 트럼프가 복귀를 염두에 둔 외교의 예열 단계로 해석된다. 미국은 이미 중국에 104%의 고율 관세를 예고했고, 한국에도 자동차 부문을 중심으로 25%의 관세를 예고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는 한국과의 통화에서 **“모든 것을 포괄하는 협상”**이라는 단어를 꺼내 들었다. 문제는 이 ‘포괄’이라는 말이 경제만을 뜻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관세는 시작일 뿐이다: 협상의 의도는 무엇인가

트럼프는 통화에서 “좋은 딜이 가능하다”며 긍정적인 언사를 남겼지만, 그 뒤에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와 동맹국의 분담 부족에 대한 오랜 불만이 숨어 있다. 그의 화법을 잘 아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딜(deal)”이라는 단어는 보통 압박을 동반한 거래 제안일 때 사용된다.

그가 언급한 주제는 다음과 같다:

  • 한국의 자동차 및 조선업 경쟁력
  • 알래스카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
  • 방위비 분담 문제
  •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한국 입장에서는 결코 간단한 협상이 아니다. 자동차 산업은 한국의 수출 핵심이고, 조선업은 구조조정을 거쳐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민감한 분야다. 여기에 에너지 협력과 방위비 문제까지 끼어들면, 이 협상은 단순한 무역 딜이 아닌 전방위 외교 재조정이 된다.


‘좋은 딜’을 위한 전제 조건: 한국의 입장

정부는 즉각 반응했다. 산업부는 3조 원 규모의 자동차 산업 지원책을 내놨고, 수출 타격에 대비한 금융 지원도 준비 중이다. 반면, 외교안보 라인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방위비 협상은 과거에도 큰 논란이 되었던 주제다. 트럼프는 **“한국은 예전에 비용을 내다가 멈췄다”**며 불만을 드러냈고, 다시 그 문제를 테이블 위에 올리려는 조짐이 보인다.

문제는 한국의 카드가 많지 않다는 데 있다. 미국과의 안보 동맹은 지속되어야 하고, 동시에 경제적으로도 미국 시장은 주요 수출처다. 특히 2024년 미 대선을 거쳐 트럼프가 재집권할 경우, 이 협상은 일시적인 조율이 아닌, 장기적인 구조 재편의 시작이 될 수 있다.


 

밈과 팩트 사이: 협상의 언어를 해독하라

트럼프는 늘 협상을 ‘쇼’처럼 운영해왔다. 하지만 그 ‘쇼’는 실질적인 결과를 요구한다. 이번에도 다르지 않다. “포괄적 협상”이라는 표현은 듣기엔 부드럽지만, 실제로는 협상의 전면 개편, 더 직설적으로는 일방적 요구의 시작일 수 있다.

우리가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밈은 이렇다:

  • “트럼프는 딜을 좋아한다” → 딜이란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수단일 뿐이다.
  • “동맹이니까 협조하겠지” → 트럼프에게 동맹은 ‘비용-효율’ 계산으로 따지는 계약이다.
  • “에너지 협력은 상생이다” → 미국 셰일가스 수출을 위한 시장 확보 전략이다.

 

결론: 협상이 아닌 ‘재편’의 시작

이번 통화는 단지 협상 제안이 아니다. 이는 한국과 미국의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는 경고다. ‘포괄적 협상’이라는 말은 곧 전방위적 조정 요구를 뜻하며, 이 조정은 경제뿐 아니라 외교, 안보, 산업 전략 전반에 걸친 것이다.

우리는 이 변화의 맥락을 냉정하게 읽어야 한다. 협상의 언어는 종종 그 내용보다 감춰진 맥락이 더 중요하다. 트럼프가 던진 이 짧은 한마디—“훌륭한 딜이 가능하다”—는 사실상 우리에게 던져진 새로운 셈법의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