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발란회생절차
- byd한국진출
- 정치특집
- 명품플랫폼위기
- 환경규제완화
- 무역외교
- 포괄적협상
- 이커머스구조조정
- co2규제완화.
- 미키17손실액
- 독일유튜버
- 헌법재판소
- 김건희소환통보
- 장재원사망
- 탄핵심판d-1
- 온라인정산문제
- 윤석열탄핵
- south korea is over
- 탄핵
- 크보사망사고
- 반트럼프시위
- 자녀실패
- 야구관중사망
- 테슬라
- handsoff
- 최악의 상태
- 부모탓
- 트럼프
- 유럽환경규제
- 정치이슈
Archives
- Today
- Total
밈과팩트사이
1%대 성장, 한국 경제의 슬픈 뉴노멀? — 2025 성장률 전망과 그 의미 본문
2025년 4월, 대한민국 경제를 둘러싼 기류가 심상치 않다.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 국제통화기금(IMF), 그리고 한국은행까지 모두 **‘성장률 하향 조정’**에 나섰다.
이제 관건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다.
‘1%대 성장률’이 일시적 저점인가, 아니면 장기 구조인가라는 질문에 마주한 것이다.
AMRO의 직격탄: 2025년 성장률 1.6%
2025년 4월 15일, AMRO는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제시했다.
이는 불과 1년 전 예상치(2.2%)보다도 크게 낮은 수준이며, 팬데믹 이후 ‘최저치’ 중 하나로 기록될 전망이다.
더 놀라운 건, 이 수치가 정치 불확실성과 미국발 고율 관세 리스크 등을 충분히 반영하고 나서야 나왔다는 점이다.
왜 이렇게 낮은가?
- 정치 불확실성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국정 공백과 정책 추진력 약화가 민간 투자 심리를 급격히 위축시켰다.
새 정부의 산업 정책도 아직 구체성이 부족해 기업들은 **‘스탠바이 모드’**에 머물러 있다. - 미국발 관세 압박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꺼내든 고율 관세 카드에 한국도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조선, 배터리 산업이 위축되며 전체 성장 기여도가 급감했다. - 내수 정체와 고물가
긴축 통화정책의 여진, 고금리, 고물가가 동시에 작동하며 소비심리는 얼어붙고, 부동산 시장 역시 관망세에 들어간 상황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대응은?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4월 17일 동결할 것으로 보이지만, 하반기에는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정부는 지난주 33조 원 규모의 ‘미국 관세 대응 패키지’와 별도로, 내수 부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이런 대응이 성장률 반등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소비와 투자, 수출이 동시에 움츠러든 구조적 냉각 상태이기 때문이다.
‘뉴노멀’이 된 1% 성장?
이제는 질문을 바꿔야 한다.
“왜 성장률이 떨어졌는가?”가 아니라
“앞으로 다시 2~3%대로 올라갈 수 있는가?”
고령화, 인구감소, 생산성 정체, 디지털 전환 지연, 글로벌 무역 질서 변화 —
이 모든 요소들이 한국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 가능성을 말해준다.
🧷 밈과 팩트 사이
- 📌 팩트: AMRO는 2025년 한국 GDP 성장률을 1.6%로 전망 (2025.4.15 발표)
- 📌 팩트: 한국은행도 2월 기준 올해 성장률을 2.1%에서 1.8%로 하향 조정
- 📌 팩트: IMF는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1.9% 이하로 평가한 바 있음
- 📌 밈: “이제 ‘마이너스 성장’만 아니면 다행이라는 게 정부 입장” — 한 경제 유튜버
- 📌 밈: “성장은 멈췄는데 세금은 계속 성장하네” — 커뮤니티 반응
'경제와 밈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1분기 실적 반등, 진짜 회복일까 착시일까? (1) | 2025.04.09 |
---|---|
트럼프는 왜 한국과 ‘포괄적 협상’을 원했을까? (2) | 2025.04.09 |
세계 증시를 뒤흔든 트럼프의 관세 폭탄과 그 여파 (5) | 2025.04.07 |
2025년 자영업자 붕괴 위기, 그 심각한 현실 (2) | 2025.04.02 |
명품 플랫폼 1위 '발란'의 추락…왜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나? (2) | 2025.04.01 |